하이퐁 정착기, 그리고 구단주의 다음 스텝

SW ENT 세계관 37편 – 정착, 그리고 또 하나의 시작 ※ 이 콘텐츠는 창작자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구성된 《SW ENT》 세계관 내 가상 시뮬레이션 서사로, 실제 시스템이나 운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 2연패 이후, 다시 무대 뒤로 물러나다 SW 토트넘과 SW 샌디에이고가 각각 유럽 챔피언스리그와 월드시리즈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구단주인 나로서는 영광스러운 순간이었다. 하지만 이제 나는 이름만 올려놓았을 뿐, 실질적인 운영은 제임스와 잭 에버렛에게 완전히 위임했다. 제임스는 토트넘 운영의 중심을, 잭은 샌디에이고의 모든 실무를 이끌고 있었다. 나는 그들이 누구보다 능력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라는 걸 알고 있었기에, 더는 내 손을 거치지 않아도 모든 것이 완벽하게 굴러가고 있다는 확신이 있었다. 🎨 SW 하이퐁 예술창작학교의 성장 한국 SW 본사에서 파견된 선생님들도 각자의 열정과 철학으로 하이퐁 예술창작학교를 진두지휘하고 있었다. 이들은 단순히 가르치는 교육자가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예술을 '공동 창작'한다는 철학을 가진 이들이었다. 나 역시 그 철학에 공감했고, 그래서 믿고 맡길 수 있었다. 🏗 땀박강 개발사업, 하이퐁의 운명을 바꿀 프로젝트 내가 직접 신경을 쓰고 있는 분야는 따로 있었다. 바로 하이퐁 중심을 가로지르는 땀박강 개발사업이다. 내가 살고 있는 집도 이 강줄기를 따라 자리 잡고 있었고, 앞으로 이 도시에서 살아갈 가족과 나의 삶을 위해서라도 이 사업은 그냥 방관할 수 없는 일이었다. 나는 하이퐁시 건설국 관계자, 그리고 해당 공사를 주관하는 빈건설 책임자들을 수시로 만나 진행상황을 확인했다. 계획대로만 완공된다면, 이 강변은 하이퐁을 넘어 아시아 도시개발의 새로운 교과서가 될 것이며, 세계가 경악할 만한 '기적의 도시 재생 모델'이 탄생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 일상과 창작, 그리고 블로그 한편, 나는 평소 집에서 곡을 쓰거나, 가족과 여행을 가거나, 특히 아들과 시...

리니지 로데마이 서버 연대기 (5편) - 마지막 공성전, 그리고 또 다른 시작

리니지 로데마이 서버 연대기 (5편)

마지막 공성전, 단 한 명이 서버 역사를 바꿨다

※ 이 콘텐츠는 창작자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구성된 가상 스토리로, 실제 게임 시스템이나 운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K-FantasyDream


단순한 게임이 아닌, 인생의 한 챕터

리니지를 처음 시작했을 땐 몰랐다. 이 세계가 내 인생의 한 페이지가 될 줄은.

하루 9시간 이상씩 사냥에만 몰두하던 시절. 서버 최고 레벨을 향해 달리던 무명 형님은 52 레벨을 눈앞에 두고 있었고, 나 역시 그 뒤를 조용히, 그러나 악착같이 따라가고 있었다.

왜 그렇게까지 했냐고? 단 하나. 지존 무기, +9 수정완드. 그리고 52 레벨에만 가능한 데스나이트 변신. 그걸 손에 넣고 싶었다. 그 순간을, 직접 증명하고 싶었다.


축하와 이별, 그리고 남겨진 자들

두 달 후. 무명 형님이 먼저 52레벨을 달성했다. 그리고 며칠 뒤, 나도 그 벽을 넘었다. 혈맹원들이 축하해 줬다. 박수가 쏟아졌고, 귓속말이 빗발쳤다.

하지만 그 무렵, 늘 함께였던 ‘너의바램’ 팀은 군 입대를 하며 하나둘씩 사라져 갔다.

누구도 탓하지 않았다. 현실은 항상 로그아웃보다 먼저 찾아오니까.

혈맹은 50명 남짓으로 줄어들었지만, 서로를 더 단단히 붙잡게 됐다.


자진 반납을 앞둔 기란성, 그러나...

기란성을 점령한 지 수 주. 우리는 점점 그 무게를 실감하고 있었다.

“형, 이제 성 유지하는 거 의미 없지 않아요?”

회의에서 누군가 조심스럽게 말했다. 여럿이 고개를 끄덕였다.

논의 끝에, 우리는 성을 자진 반납하기로 했다. 그렇게 결정하고 2일 후 예정된 수성전만 마무리하자고 했다.

하필이면, 그날은 어머니 생신이었다. 나는 수성전 대신 가족과의 식사를 택했다. 지유에게 모든 걸 맡긴 채.

저녁 식사 도중, 전화가 울렸다. 지유였다.


기습

예상은 적중했다.

불패혈과 레드혈이 연합해 100명이 넘는 병력을 이끌고 쳐들어왔다. 지유의 목소리는 흔들렸지만, 보고는 명확했다.

“막을 수 없어요. 형, 우리... 무너졌어요.”

나는 단호하게 말했다.

“지금부터 전투 중지. 피해 최소화에 집중해.”

성문은 열렸고, 기란은 허무하게 무너졌다.


성을 빼앗긴 밤, 침묵만이 남았다

밤 10시. 사무실 문을 열자 혈맹원들은 아직 그 자리에 있었다.

누구도 모니터를 끄지 않았고, 누구도 키보드에 손을 대지 않았다.

성은 애초에 반납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스스로 내려놓는 것과 강제로 빼앗기는 건 전혀 다른 문제였다.

그 밤의 침묵은, 단순한 패배 그 이상이었다.


"군주 캐릭터와 나, 단둘이 간다"

나는 입을 열었다.

"2일 후, 공성 시간. 나랑 군주 캐릭터. 단둘이 성으로 간다."

“형 미쳤어요?” “혼자서 뭘 어쩌려고요.”

만류가 쏟아졌지만, 내 표정은 흔들리지 않았다.

“딱 두 명이면 돼. 복수 아냐. 기록이야.”


혼자 시작한 전쟁

공성 당일.

군주 캐릭터 '마왕'으로 공성을 선포하고, 나는 혼자 기란성 앞에 섰다.

아무도 없었다. 아무도 오지 않았다.

성문은 미리 약속해 둔 아군 기사 둘이 부쉈고, 나는 드디어 +9 수정완드를 손에 쥐었다.

그리고 테이밍해 둔 데스나이트와 피닉스를 동시에 소환했다.


전장을 불태운 단 한 명

에볼루션으로 바리케이드를 녹이고, 파이어볼로 틈을 벌리고, 미티어 스트라이크가 하늘에서 떨어졌다.

나는 전장을 뛰지 않았다.

걸었다.

걸으면서 마법을 쏘았다. 데스나이트가 전방을 쓸고, 피닉스가 후방을 막았다.

그 앞에 있던 모든 적은 단 한 번도 내게 닿지 못했다.


"지옥혈이 기란성을 점령하였습니다."

마지막 내성문 앞. 모두가 마지막이라던 그곳도 뚫렸다.

군주 캐릭터가 면류관을 클릭했다.

서버 전체 메시지가 떴다.

"지옥혈이 기란성을 점령하였습니다."

적혈은 더 이상 공격하지 않았다.

플레이포럼 조아라 기자는 그 장면을 영상으로 기록했고, 그 순간, 나는 모든 유저에게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끝과 시작

그날 이후, 우리는 마지막 회의를 열었다.

공식적으로 성을 포기했고, 공지를 통해 서버 전체에 우리의 은퇴를 알렸다.

하지만 나의 이야기는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현실에서의 전쟁

리니지는 끝났지만,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나는 게임에서 함께한 동료들에게 말했다.

“이제 현실에서 싸울 시간이다. 외국어든, 메이크업이든, 유통이든, 뭐든 해. 이제 너희가 진짜 회사의 기반이야.”

그들은 웃었고, 나는 알았다.

이 친구들과 함께, 진짜 성 하나를 세울 수 있겠다는 걸.

그 이름은, SW 엔터테인먼트.


리니지는 로그아웃됐고, 현실이 로그인되었다.

— SW ENT 세계관 1편에서 계속됩니다.

👉 다음 편 보러가기 (SW ENT 세계관 1편)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이퐁 정착기, 그리고 구단주의 다음 스텝

리니지 혈맹에서 상암동 콘텐츠 제국으로 - SW 엔터테인먼트 창립 스토리

리니지 로데마이 서버 연대기 (1편) - 신섭 65인 혈맹 창설 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