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을 부르는 노래 ‘사랑아’ – 그 남자가 다시 무대에 선 이유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SW ENT 세계관 3편 – 사랑아, 그 노래로 다시 서다
※ 이 콘텐츠는 창작자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구성된 《SW ENT》 세계관 내 가상 시뮬레이션 서사로, 실제 시스템이나 운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목소리를 잃은 이유
나는 어릴 적부터 노래를 좋아했다.
음정이 정확하다는 말을 들은 적은 많았지만,
내가 노래에 끌렸던 이유는 단순히 기술적인 완성도 때문이 아니었다.
내 노래에 감정을 담을 수 있었기 때문, 그리고
그 감정이 누군가의 마음을 건드릴 수 있다는 걸 느꼈기 때문이었다.
특히 소향 누나는 내 가장 든든한 지지자였다.
“너 노래에는 뭔가 있어. 그냥 잘하는 게 아니야. 듣는 사람 마음을 움직여.”
그 말은 단순한 칭찬이 아니라, 내 음악 인생의 방향을 정해준 신호였다.
나는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과 밴드를 만들었다.
학교 축제 때 무대에서 직접 쓴 곡을 연주하고 노래하면서
음악이라는 것이 얼마나 즐거우면서도 무거운 책임인지 배웠다.
그때 만든 곡들은 지금 들어도 심장이 뛴다.
‘바람의 노래’, ‘헤븐’, ‘그래서 그대는’, ‘무한궤도’, ‘사랑할수록’, ‘바람기억’,
‘질풍가도’, ‘너에게로 또다시’, ‘동행’까지.
전부 고등학교 시절의 나의 감정이 녹아든 작품들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우리 밴드에서 베이스를 치던 친구가
공연도중 갑자기 감전사고로 병원으로 옮겼지만 의식을 찾지 못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 사건은 내 인생의 모든 색깔을 잃게 만든 충격이었다.
나는 그의 병실을 찾아갔고,
그 앞에서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긴 시간 서 있었다.
그날 이후, 내 목소리는 서서히 사라져 갔다.
누가 강제로 빼앗은 것도 아닌데,
나는 노래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사실을 가장 안타까워한 사람은 소향 누나였다.
“그 친구도 네가 노래를 멈추는 걸 바라지 않을 거야.
너 자신을 위해서라도 다시 불러야 해.”
그때는 그 말조차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노래는 나의 일부였지만, 동시에 가장 깊은 상처가 되었으니까.
친구의 한 마디
1 년이 흐른 후, 믿기 힘든 소식이 들려왔다.
그 친구가 깨어났다는 것이다.
완전히 회복된 건 아니었지만, 말을 할 수 있고, 표정도 회복되었고,
무엇보다 완치 가능성 판정을 받고 본격적인 치료를 시작했다는 소식은 내게 큰 울림을 주었다.
그러던 중, 또 다른 밴드를 함께 했던 친구가 그 병문안을 갔다가
무심코 내 이야기를 꺼냈다고 한다.
“그 친구, 너 사고 이후로 노래를 멈췄어. 지금까지도 안 하고 있어.”
그 이야기를 들은 친구는 고개를 떨구었다고 했다.
그리고 며칠 뒤, 내가 병원에 들렀을 때였다.
그는 휠체어에 앉아 나를 조용히 바라보다가,
눈시울을 붉히며 아주 낮은 목소리로 말했다.
“다시… 노래해.”
그 한 마디.
그 짧은 말이 내 안에 얼어붙었던 시간들을 깨뜨렸다.
그 순간만큼은 고통도, 회피도, 변명도 사라졌다.
나는 그 친구가 다시 눈을 뜬 이유가,
나의 노래를 다시 듣고 싶어서였다고 생각했다.
우연처럼, 운명처럼
설날을 앞둔 어느 날, 소향 누나가 명절 특집 방송에 출연하게 되었다.
나는 단순히 운전기사 노릇을 하러 따라갔을 뿐이었다.
그런데 도착해 보니, 방송 콘셉트가 조금 달랐다.
‘연예인과 가족이 함께 부르는 명절 특집 듀엣 경연’
소향 누나는 몰랐던 눈치였고,
스태프들도 갑작스러운 콘셉 변경으로 미리 전달하지 못한 상황을 난감해하고 있었다.
나는 그때 결심했다.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고.
이건 누나를 위해서도,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해서도
필요한 무대라고.
사랑아, 다시 부르다
나는 예전에 누나를 위해 한 곡을 썼었다.
제목은 ‘사랑아’.
단순한 발라드가 아니었다.
그건 누나와 나, 우리 가족과 나의 음악적 기억이 담긴
가장 진심 어린 곡이었다.
스튜디오 리허설에서 처음 마이크를 잡았을 때
손이 떨리고 목소리가 갈라졌다.
하지만 누나가 조용히 내 손을 잡으며 말했다.
“지금까지 못 불렀던 노래, 오늘은 같이 부르자.”
노래가 시작되자,
그간 숨어있던 감정들이 하나씩 일어나기 시작했다.
피아노 선율 위로 쌓이는 멜로디와 내 목소리는
처음엔 서툴렀지만, 점차 자연스러워졌다.
노래가 끝났을 때,
그 공간에 있던 모든 스태프들이 조용히 박수를 쳤다.
아무도 말하지 않았지만, 모두가 감정이 북받친 눈빛이었다.
그 순간 나는 확신했다.
나는 다시 노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노래로 다시 살아갈 수 있다.
SW의 진짜 시작
방송 후, 나는 방시혁과 유재석에게 영상을 보냈다.
그들은 영상이 끝나자마자 조용히 내게 말했다.
“이제 진짜, 시작해 보자.”
SW 엔터테인먼트는 그렇게,
내 목소리가 돌아온 순간부터,
비로소 진짜 숨을 쉬기 시작했다.
— SW ENT 세계관 4편에서 계속됩니다.
© 선우아빠.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